작가 소개 및 글
회원마당
작가소개 및 글
작가 저서
사진 자료실
이달의 회원작품
박경주
충남 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
‘워싱턴문학’ 신인문학상 (2015)
미주한국일보 문예공모 시 부문 당선(2018)
‘워싱턴문학’ 수필 부문 수상
바람 이전
새들은 돌아올까
스산한 바람 가득한 낯선 바다
육지를 향해 거칠게 밀려오는 검은 파도의 웅얼거림
길거리 나무들이 빗줄기를 꿈꾸기도 전에
새들은 사라졌다
축축하게 익은 가을 공기에선
검붉은 불안이 툭툭 터져나오고
바람에게선
낮고 탁한 소리가 들린다
외로움으로 눈을 감는 사이,
뼛속까지 스며든 고요
새들이 떠나고
더 빨리 어두워진 하늘은
땅으로 뚝 떨어진다
-------------------------------------------------------------------------------------------------------------------------------------------
영화 ‘군함도’를 보고 – 그럼에도 불구하고 ‘군함도’
“이 풍진 세상을 만났으니 너의 희망이 무엇이냐,
부귀와 영화를 누렸으면 희망이 족할까
푸른 하늘 밝은 달 아래 곰곰이 생각하니,
세상만사가 춘몽 중에 또다시 꿈 같다”
보는 내내 어둡고 바람이 통하지 않아 악취가 나고, 눅눅하고 아팠던 영화 속에서 소희와 소희 아빠가 나지막이 희망가를 부른다. 달빛같이 뿌연 희망이 지금 이 시대를 살아가는 나에게도 천천히 스며든다.
영화 <군함도>는 일본 제국주의 시대에 나가사키현 나가사키시에 있는 하시마섬 탄광에서 있었던 한국인 강제노역의 실태를 영화로 만든 작품이다. 일본은 조선인들을 강제로 끌고 가, 언제 무너질지 모르는 바다 밑 탄광에서 똑바로 서지도 못하고 거의 누운 상태로 석탄을 캐는 강제노역을 시켰다. 먹을 것도 제대로 주지 않고 비위생적인 환경에서 총칼로 위협을 받으며 일해야 했던 강제징용 노동자들은 그 당시를 지옥보다도 더 참혹했다고 회고한다. 이런 반인륜적인 역사현장이었던 하시마섬을 일본 정부는 2015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올렸다. 인간성 말살과 인간 학대의 증거가 고스란히 남아있는 이 섬을 산업혁명의 현장이라는 이름을 덧입혀 진실을 왜곡하려는 것이다.
하시마섬이 군함도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된 건, 섬의 좁은 땅을 최대한으로 이용하려는 미쓰비시가 1926년 일본 최초의 철근콘크리트 건물인 7층 아파트를 짓기 시작해 고층 건물을 계속해서 지었고, 그 좁은 섬에 건물들이 빽빽이 들어선 모습이 마치 군함처럼 보여 군함도라 불렸다고 한다.
영화는 1945년 일제 강점기에 조선인들이 군함도로 끌려가 그곳에서 착취당하며 살아가는 모습을 그리고 있다. 강제로 끌려갔던 조선인 중에는 친일 조선인도 있어 일본 간부들과 짜고 같은 조선인의 임금을 중간착취하는 가슴 아픈 사실도 말하고 있다. 전쟁이 막바지에 이르자 일본군들은 강제징용, 노동착취의 증거를 없애려고 조선인 노동자들을 모두 죽이려는 계획을 세운다. 그러나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핵폭탄이 떨어지기 전, 조선인들은 탈출을 시도하고 처절한 싸움의 과정에서 결국은 많은 사람이 죽는다.
관람하는 내내 검은 탄광 갱도에 앉아 있는 느낌이던 영화가 끝나고, 주변 사람들이 하나둘 자리를 뜬다. 흐르는 눈물이 멈추지 않는다. 영화 속 노동자들의 눈빛이 너무도 무겁게 내게 와서 훌쩍일 수도 없다. 1945년 그때, 지옥 같은 그곳에서 살며 숨 쉬어야 했던 어린아이들. 폭력을 당하는 사람들과 욕심으로 폭력을 행사하는 사람들. 이유도 모르고 끌려가 참담한 역사를 견딜 수밖에 없던 우리의 아픈 과거가 그 안에 있기 때문이었을까.
영화의 중간쯤, 어두워지는 바다에서 날카로운 파도를 헤치며 어린 조선인들이 중대한 임무를 띠고 지옥 섬을 탈출하고 있다. 그러나 곧 한 아이는 총에 맞아 죽고, 두 아이는 바다 한가운데서 일본 배에서 던져진 그물에 잡혀 그대로 끌려가며 차가운 바다 그물 안에서 죽는다. 아가미로 숨을 쉬지 않는 우리의 아이들이 그물망 안에서 물고기처럼 파닥거리지도 못하고 죽어갔다. 너무 가엾고 불쌍했다. 그런데 영화가 끝나갈 무렵 바다에서 죽어간 조선 아이들의 중대한 임무가 시작부터 ‘그냥 처절하게 죽어가는 것’ 이란 걸 알게 되었을 때는 정말 숨이 턱 막히는 배신감이 들었다. 아이들에게 죽음의 임무를 준 -아이들이 죽을 때까지 믿었던- 선생님(윤학철)은 같은 조선인을 착취하며, 돈을 만드는 대상으로만 생각하는 친일파였다.
어두운 갱도 안에서 움직이는 사람들의 웅얼거림, 낮은 채도의 효과음들, 침략당함이 어떤 것인지 공포감으로 다가올 때쯤 들려오는 경쾌한 행진곡에서 느꼈던 짓이겨진 잔인함. 일본의 비행사들이 가미카제를 하러 가기 전에 불렀다던 ‘동기의 벚꽃’ 노래를 일본군들이 부르는 장면에서 조선인들의 얼굴에서 보인 고통 속의 무력감. 삶의 끝자락일지 모르는 순간 들리는 ‘둥개둥개 둥개야’의 낮고 다정한 노랫소리. 어둡고 좁고 얽히고설킨 갱도. 일본 전범기가 찢기는 타당한 소리와 몸짓, 원폭이 터지면서 발하는 전쟁의 섬뜩한 빛. 이 모든 요소로 인해 영화를 보는 동안 나의 온몸엔 전율이 흘렀다.
영화 속에는 이제야 막 알려지는 이야기들이 있다. 강제징용의 실상, 일본인보다 더 잔인했던 친일파 조선인들의 모습. 아직도 당당하게 살아가는 철면피 윤학철들, 강제로 끌려간 위안부 이야기 등.
<군함도>는 스크린 독과점 문제, 역사적 사실과의 차이에 대한 해석, 친일과 반일에 대한 논쟁 등 여러 가지 의견들이 부딪치는 영화이기도 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이 영화가 아픈 역사를 기억하고, 그 피해자들을 위로해 줄 수 있는 간절함이 있다는 것에 의미를 두고 싶다. 군함도라고 불리는 하시마섬의 역사적 사실을 보여준 것에 감사한다. 온몸으로 지옥을 살아내야만 했던 강제징용 피해자들의 억울함을 기억하고, 지옥 같은 섬에서 삶을 견디어 낸 그들을 위로하는 방법을 지금 이 시대에서 함께 찾기를 바란다. 역사의 사금파리 조각 같은 이야기를 서로 나누며, 아픈 역사 속에서 가엾게 죽어간 이름 모르는 그들을 위로하고 싶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