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문학회

장르별 문학회

시 문학회

아동 문학회

수필 문학회

소설 문학회

평론 문학회

영문학회

4월 23일 글 사랑방 토의 작품 - 나이트 쉬프트

Author
문학
Date
2016-04-27 20:46
Views
4060

소설 문학회 여러분 안녕하세요.


지난 4 23일 글 사랑방 모임에 참석한 회원은 정은선, 조명숙씨황보 한씨, 박숙자씨였습니다. 서윤석씨는 시문학회에 참석하는 관계로 미리 Comments를 보내주셨습니다. 박광진씨 역시 미리 평을 보내주셨습니다.


 황보 한씨:


재향군인 병원 약사 정희의 " 당번" 근무 퇴근 일어 흥미로운 이야기입니다. 제목 "나이트 쉬프트" 영어권 독자에겐 무난하겠고, 한국 독자에게도 미국에서 일어 이야기로 " 당번" 보다 나은 제목임.


약간 무시한 분위기를 보아서  "눈부신 야광등" 보다 "희미한 야광등" 어떨까요?


밤에 화장실서 볼일 보며 죽은 친구생각을 하는 것과 꿈결에 걱정하는 어머님을 것은 좋은 발상임. 오는 새벽 퇴근 길에 일어난 자동차 사고는 얘기의 클라이막스로 괜찮음.


 박광진씨:


진숙의 장례식에 '구노의 아베마리아' 바이올린 곡으로 들은 대목에서는 


눈물이 났습니다. 그리고 메사돈을 강탈한 강도와 사고가 났을 만난 남자와의 인상을 겹친 부분에서는 이민자의 고달픈 삶을 느꼈습니다.


 서윤석씨:


읽었습니다.
첫째로 저의 생각에는 "수술복 가운' 실제와 다릅니다. 아마도 그냥 푸른 "수술복"이라고 하는 것이 옳습니다.

"가운" 외과의사가 손을 씻고 집도 전에 멸균된 자세에서 간호사들이 입혀주면 위에 입는 것인데 실제로 사람들이 밖에서 흔히
입고 다니는 것은 가운이 아니고 그냥 수술복입니다.
둘째로 흑인간호원, 백인, 노랑이, 혼혈아 등의 인종적인 이야기가 너무 많이 서술되었습니다. 필요이상의 인종적 설명입니다.

이외의 대체적인 흐름은 훌륭한 작품이라고 생각됩니다.  미국에서의 마약사범들의 이야기, 고달픈 당직 하루에 일어난 약사들의 이야기, 방문 중이신 부모님을 편안하게 모시지 못한 어려웠던 이민생활을 표현했습니다

정은선씨:

꿈을 쫓아 현실에 충실한 삶을 살아가는  여자의 일상을 그렸습니다.

큰 사건 (도둑맞은 메사돈교통사고) 너무 간단하게 정리하여

병원 약국에서의  일상에 비해 클라이막스가 부족하거나 심심한 느낌.

 두 가지를 심도 있게 부각 시키는 건 어떨까요?

현실감 있는 잔잔한 소설강한 임팩트는 없지만 사실 소설화하기 위해 쥐어짜는 스토리 구성보다 편안하고 좋았습니다.

 조명숙씨: 본문에 정성 들여
고치고
 comment 하셨습니다.    

Translate »